이호진

프로그래머스 - 배달 - 파이썬(다익스트라) - 2021/04/28 본문

문제풀이

프로그래머스 - 배달 - 파이썬(다익스트라) - 2021/04/28

이호진 2021. 4. 28. 15:20

문제 설명

 

N개의 마을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습니다. 이 나라의 각 마을에는 1부터 N까지의 번호가 각각 하나씩 부여되어 있습니다. 각 마을은 양방향으로 통행할 수 있는 도로로 연결되어 있는데, 서로 다른 마을 간에 이동할 때는 이 도로를 지나야 합니다. 도로를 지날 때 걸리는 시간은 도로별로 다릅니다. 현재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에서 각 마을로 음식 배달을 하려고 합니다. 각 마을로부터 음식 주문을 받으려고 하는데, N개의 마을 중에서 K 시간 이하로 배달이 가능한 마을에서만 주문을 받으려고 합니다. 다음은 N = 5, K = 3인 경우의 예시입니다.

위 그림에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은 [1, 2, 4, 5] 번 마을까지는 3 이하의 시간에 배달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3번 마을까지는 3시간 이내로 배달할 수 있는 경로가 없으므로 3번 마을에서는 주문을 받지 않습니다. 따라서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배달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은 4개가 됩니다.
마을의 개수 N, 각 마을을 연결하는 도로의 정보 road,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 K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, 음식 주문을 받을 수 있는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.

제한사항

  • 마을의 개수 N은 1 이상 5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.
  • road의 길이(도로 정보의 개수)는 1 이상 2,000 이하입니다.
  • road의 각 원소는 마을을 연결하고 있는 각 도로의 정보를 나타냅니다.
  • road는 길이가 3인 배열이며, 순서대로 (a, b, c)를 나타냅니다.
    • a, b(1 ≤ a, b ≤ N, a != b)는 도로가 연결하는 두 마을의 번호이며, c(1 ≤ c ≤ 10,000, c는 자연수)는 도로를 지나는데 걸리는 시간입니다.
    • 두 마을 a, b를 연결하는 도로는 여러 개가 있을 수 있습니다.
    • 한 도로의 정보가 여러 번 중복해서 주어지지 않습니다.
  • K는 음식 배달이 가능한 시간을 나타내며, 1 이상 500,000 이하입니다.
  • 임의의 두 마을간에 항상 이동 가능한 경로가 존재합니다.
  • 1번 마을에 있는 음식점이 K 이하의 시간에 배달이 가능한 마을의 개수를 return 하면 됩니다.

입출력 예

N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roa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K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result

5 [[1,2,1],[2,3,3],[5,2,2],[1,4,2],[5,3,1],[5,4,2]] 3 4
6 [[1,2,1],[1,3,2],[2,3,2],[3,4,3],[3,5,2],[3,5,3],[5,6,1]] 4 4

입출력 예 설명

입출력 예 #1
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.

입출력 예 #2
주어진 마을과 도로의 모양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.


1번 마을에서 배달에 4시간 이하가 걸리는 마을은 [1, 2, 3, 5] 4개이므로 4를 return 합니다.

 

풀이

 

처음에는 다익스트라 함수를 만들어서 풀려고했다.

알수없는 이유로 다익스트라함수에 1을 넣어서 실행하면 NameError: name 'distance' is not defined라는 에러가뜬다.

 

import heapq
def dijkstra(start):
    q=[]
    heapq.heappush(q,(0,start))
    distance[start]=0
    while q:
        dist,now=heapq.heappop(q)
        if distance[now]<dist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for i in graph[now]:
            cost=dist+i[1]
            if cost<distance[i[0]]:
                distance[i[0]]=cost
                heapq.heappush(q,(cost,i[0]))

def solution(N, road, K):
    graph=[[]for i in range(N+1)]
    INF=int(1e9)
    distance=[INF]*(N+1)
    for i in road:
        a,b,c=i
        graph[a].append((b,c))
        graph[b].append((a,c))
        
    dijkstra(1)
    count=0          
    for i in distance:
        if i<=K:
            count+=1
    return count

에러뜨는 코드

그래서 다익스트라 함수에 distance와 graph를 넣어서 실행했더니 해결되었다.

 

import heapq
def dijkstra(start,distance,graph):
    q=[]
    heapq.heappush(q,(0,start))
    distance[start]=0
    while q:
        dist,now=heapq.heappop(q)
        if distance[now]<dist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for i in graph[now]:
            cost=dist+i[1]
            if cost<distance[i[0]]:
                distance[i[0]]=cost
                heapq.heappush(q,(cost,i[0]))

def solution(N, road, K):
    graph=[[]for i in range(N+1)]
    INF=int(1e9)
    distance=[INF]*(N+1)
    for i in road:
        a,b,c=i
        graph[a].append((b,c))
        graph[b].append((a,c))
        
    dijkstra(1,distance,graph)
    count=0          
    for i in distance:
        if i<=K:
            count+=1
    return count

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코드 -> 파이참에서는 dijkstra(1)이렇게만 해도 잘 작동하는데 왜 프로그래머스 내부에서는 인자를 다 넣어줘야만 실행되는지 잘 모르겠다.

 

import heapq

def solution(N, road, K):
    graph=[[]for i in range(N+1)]
    INF=int(1e9)
    distance=[INF]*(N+1)
    for i in road:
        a,b,c=i
        graph[a].append((b,c))
        graph[b].append((a,c))
        
    q=[]
    heapq.heappush(q,(0,1))
    distance[1]=0
    while q:
        dist,now=heapq.heappop(q)
        if distance[now]<dist:
            continue
        for i in graph[now]:
            cost=dist+i[1]
            if cost<distance[i[0]]:
                distance[i[0]]=cost
                heapq.heappush(q,(cost,i[0]))
    count=0          
    for i in distance:
        if i<=K:
            count+=1
    return count

함수를 쓰지 않고 solution 내부에서 다익스트라 구현

 

 

혹시 이유 아시는분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